20대 청년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 자가 진단하기
반응형
서울청년센터 강서에서 3번째로 하는 <텅장탈출> 드디어 '내 집 마련 준비하기'를 주제로 수업을 듣는다.
강사님께서 알려주신 홈페이지는 살면서 처음 듣는 게 많았다. 너무 정보가 많아서 정신없었지만 정리하면서 머릿속에 집어넣자.
2025 기준 중위 소득 VS 월평균 소득
중위소득을 구분하는 기준이 2가지가 있다.
- 전체 가구의 소득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
-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기준
'전체 가구의 소득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'은 '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기준'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.
전체 근로자와 비교해서 100%, 150%에 해당되는 도시근로자의 소득이 백만 원 이상 더 번다. 헐~ 격차가 너무 심한데;;
기준중위 소득 |
1인 | 2인 | 3인 | 4인 |
50% | 1,196,007 | 1,966,329 | 2,512,677 | 3,048,887 |
100% | 2,392,013 | 3,932,658 | 5,025,353 | 6,097,773 |
150% | 3,588,020 | 5,898,987 | 7,538,030 | 9,146,660 |
월평균 소득 |
1인 | 2인 | 3인 | 4인 |
100% | 3,598,164 | 5,477,003 | 7,626,973 | 8,578,088 |
150% | 5,397,246 | 8,215,505 | 11,440,460 | 12,867,132 |
200% | 7,196,328 | 10,954,006 | 15,253,946 | 17,156,176 |
소득을 나누는 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. 네이버에 검색해 보니 '월평균 소비지출'과 '농가소득' 등 국가에서 다양한 지표를 조사하고 있었다. 아무래도 고소득자들의 영향으로 중위소득에 비해 월평균소득은 상당히 높다.
청년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 자가 진단하기
잘 몰랐는데 청년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이 엄청나게 많다. 자신의 상황에 잘 맞는 정책을 선택하기 위해서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자가진단하고 혜택을 받자.
자가진단을 완료하면 내가 지원받을 수 있는 모든 정책이 다 나온다.
지금 돈이 없다고, 집 값이 너무 올라서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사기 힘들다는 부정적인 소식은 좀 무시하고 종잣돈을 모아서 내가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잘 찾아서 내 집 마련을 시도해 보자.
반응형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택 임대차 계약 할 때 무조건 확인해야 하는 권리들 (0) | 2025.05.30 |
---|---|
부린이가 집 계약 할 때 꼭 확인해야 하는 체크 리스트와 서류들 (0) | 2025.05.27 |
2025 서울머니쇼 직장인 재테크 비법 <할미언니> 강연 후기 (0) | 2025.05.17 |
사회 초년생을 위한 금융 교육 <텅장탈출> 2주차, 내 생에 첫 종잣돈 만들기 (0) | 2025.05.14 |
사회 초년생을 위한 금융 교육 <텅장탈출> 1주차, 서울시 청년지원 사업 추천 (0) | 2025.05.10 |
댓글